DB시스템 개요
1. Storage VS DB VS DBMS
1. 스토리지
- 뭔가(파일, 글자, 사진, 이미지)을 저장하는곳 HDD, SSD같은 하드웨어
- nas, san 란 기술로 다른 장비에 저장공간을 제공하는 방법이 있다.
- 관계형 DB도 스토리지의 한 종류다
2. DB
-
응용 시스템들이 공유해서 사용하는 "Operational data"들이 구조적으로 통합된 모임이다, 그냥 데이터 집합체 자체를 의미한다.
-
DBMS를 통해 관리된다.
-
관계형 DB 엑셀 테이블(테이블(릴레이션))처럼 데이터를 정형화 해서 저장되는데 DB 스토리지의 한 종류다
-
- 특징
-
- 모든 데이터가 중복을 최소화 하면서 통합되는것을 목표
- 프로그램과 데이터간의 독립성이 제공된다.
- 쿼리를 통한 효율적인 접근이 가능하다.
- 데이터베이스와 시스템카탈로그로 분류된다.
- 시스템 카탈로그 : 데이터베이스 스키마(메타데이터)가 저장되는곳.
3. DBMS
- DB라는 데이터 자체를 관리하는 시스템이다.
- 흔히
ORACLE, MySQL, MariaDB
얘네를 DB라 착각하는데 잘못된 표현이고 DBMS이다.
- 흔히
- 그리고 DB+DBMS가 탑재된 서버를 DB서버(DBMS에 포트번호가 있음)라고 한다.
위 요소들은 다 네트워크로 연결이 되어 자원으로 사용 된다.
2. 스키마 & 상태


1. DB 스키마
- DB의 제약조건에 대한 모든 가능한 상태를 미리 정의한다.
- 데이터의 구조적 특성인 (학번은 몇자리 까지?, 글자인가 숫자인가?, 사칙연산이 가능한가?, 오름내림차순 설정 등등..)
- 스키마는 불변하다.
- 시스템 카탈로그는 테이블(테이블(릴레이션))을 모아놓은 폴더와 비슷하다.
2. DB 상태
- 테이블(테이블(릴레이션)), 테이블(릴레이션)이라고 명칭 한다. 테이블(테이블(릴레이션))로 표현된다.
- 행 : 튜플 레코드
- 열 : 필드
3. DBMS개요

컴퓨터 시스템에서 DBMS의 계층
1. 파일시스템 VS DBMS비교
① 파일 시스템
- 기존 파일시스템은 데이터가 파일에 중복되서 저장되는 일이 빈번했고
- 필드값이 바뀔때, 파일마다 모두 수정하지 않게된다면 데이터 불일치가 발생되었다.
- 회복 기능이 없고
- 무결성을 유지하기 어려웠다
- 또한 데이터를 쉽게 명시하려는 질의어가 없었다.
② DBMS
- SQL을 통해서 쿼리를 빠르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.
- 무결성 제약 조건을 자동으로 유지시켜주며, : 무결성
- 일관된 상태로 롤백기능이 있어서 회복가눙이 좋다. : 회복성
- 그리고 프로그램-데이터 독립성이 좋다. : 시스템과 독립성
- 보안이 향상됨. : 보안성
참조
'CS > DB' 카테고리의 다른 글
| 니앙팽이 - DB | 8 | SQL - DML(데이터 조작어) (0) | 2023.09.14 |
---|---|
| 니앙팽이 - DB | 7 | SQL - DDL(데이터 정의어) (0) | 2023.09.14 |
| 니앙팽이 - DB | 6 | 조인 (내부, 외부) (0) | 2023.09.14 |
| 니앙팽이 - DB | 5 | 관계형 DBMS & 데이터 무결성 (0) | 2023.09.08 |
| 니앙팽이 - DB | 2 | DB 정규화 Normalization (0) | 2023.09.05 |